top of page

스위스 시계업계의 스페셜리스트들 ll

The Specialists

 

듀보아 데프라(Dubois Depraz)

듀보아 데프라
듀보아 데프라 매뉴팩처


‘DD’로 통칭하는 듀보아 데프라는 무브먼트 제조사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일종의 애드온)과 부품 생산의 스페셜리스트다. 요즘은 이런 스페셜리스트들이 스스로를 노출하고 대표 개발자의 이름을 알리는 시대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못했다. 듀보아 데프라 또한 스스로를 강조 하지 않았지만, 시계 브랜드가 범용 무브먼트를 베이스로 차별화된 기능을 구현하고 싶다면 높은 확률로 이들을 만날 수밖에 없을 만큼 듀보아 데프라의 위상은 높았다.


1901년 설립된 듀보아 데프라는 당시에는 지금의 이름이 아니었다. 하지만 탁월한 크로노그래프를 생산하면서 명성을 알리기 시작했다. 시간이 흘러 부품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를 별도로 설립했고, 설립자 마르셀 데프라의 사위 레이놀드 듀보아가 합류해 지금의 이름을 얻었다. 이들의 이름은 역사적인 시계와 관련해 종종 등장하곤 했으며, 가장 잘 알려진 예는 1969년 태그호이어와 브라이틀링이 주축이 된 최초의 자동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11 프로젝트다. 이것은 뷰렌(Buren)의 마이크로 로터 방식 자동 무브먼트를 베이스로 크로노그래프 모듈을 올린 구조였다.


1950년대에 접어들며 자동 무브먼트의 시대가 찾아오자 크로노그래프도 로터를 다는 시대가 올 것을 예견 한 태그호이어와 브라이틀링은 한정된 개발비와 촉박한 개발 시간이라는 제약에 부딪혔다. 자체적으로 자동 크로노그래프를 내놓으려 했던 듀보아 데프라는 막대한 개발비를 혼자 감당하기 어려웠던 터라 이해관계에 얽히며 칼리버 11 프로젝트라는 한배를 타게 된다. 이에 최초의 자동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11은 모듈형으로 등장했고, 듀보아 데프라는 자동 무브먼트를 자동 크로노그래프로 바꾸는 데 결정적 역할(크로노그래프 모듈 제작)을 담당한다.


1970년대에 쿼츠 손목시계가 등장하면서 초래된 스위스 시계 산업의 쇠퇴로 제조 시설과 제반 환경이 상당 부분 사라졌다. 1980년대 중반을 지나며 완연한 회복기에 접어든 스위스 시계는 다시 기계식 시계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때 범용 무브먼트 제조에서 유일한 생존자인 ETA가 앞장서 무브먼트를 공급하며 숨통이 트인다. ETA의 전면적인 무브먼트 공급은 2000년대 접어들면서 다소 다른 양상을 보인다. 기계식 시계 시장이 부활을 이룬 이 무렵은 범용 무브먼트는 물론 시계의 다른 부품의 수급도 매우 수월했다. 사무실 에 책상 하나와 전화기 한 대만 두면 자신의 브랜드로 시계를 만들 수 있다는 농담이 돌 정도였다. 풍부해진 산업 환경과 자본의 유입으로 분업화의 절정을 이룬 시기이기도 하다.


이에 스와치 그룹의 전 회장이자 고인이 된 니콜라스 하이에크는 ETA 같은 대량 공급된 무브먼트가 스위스 시계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며 무브먼트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사건의 파장은 듀보아 데프라와 같은 모듈 제조사를 덮친다. ETA는 에보슈(주문한 브랜드가 수정이 나 기능을 추가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반조립 상태의 무브먼트) 공급 중단과 함께 기본 무브먼트의 기능을 확장한 파생형 무브먼트도 공급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듀보아 데프라는 어려운 시간을 겪으며 생존을 위한 새로 운 판로를 고심해야 했다.

현재의 듀보아 데프라는 다른 무브먼트 스페셜리스트와 조금 다른 성격을 띤다. 전혀 구체화되지 않은 구상 단계의 개념을 실물로 만들어내거나 주문 자의 요구에 맞춘 비스포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요즘 무브먼트 스페셜리스트라면 듀보아 데프라는 전통적으로 행해온 레디메이드 서비스와 비스포크 를 겸한다. 필요한 모듈을 메뉴판에서 고를 수 있고, 없다면 주문 제작도 가능하다. 자동 크로노그래프 칼리버 11 이후로도 이들은 많은 기능을 창조해왔으며, 최근작으로는 오데마 피게에서 사용한 레가타 크로노그래프 모듈, 리차드 밀 RM 011 시리즈의 크로노그래프 모듈, 지라드 페리고의 크로노그래프 모듈처럼 전통적 크로노그래프 모듈을 비롯, 다양한 기능을 모듈로 구사한다.


또 인하우스에서 제작하기에 소량이라 채산성이 떨어지는 부품이나 특수 용도의 부품 생산도 맡는다. 현재 듀보아 데프라는 전성기에 비해 다소 위축되었을지 모르지만, 전통 스페셜리스트로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100% 인하우스 생산은 불가능한 것이 실제 시계 제조 환경이며, 여전히 많은 브랜드가 듀보아 데프라에 도움의 손을 내밀고 있기 때문이다.



오데마 피게 르 로클(Audemars Piguet Le Locle)

오데마 피게 RO 컨셉 플라잉 투르비용 GMT
오데마 피게 RO 컨셉 플라잉 투르비용 GMT

오데마 피게 르노 에 파피는 컴플리케이션 설계와 생산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다. 도미닉 르노(Dominic Renaud)와 지울리오 파피(Giulio Papi)는 오 데마 피게의 컴플리케이션 공방에서 일하던 동료였다.

르 브라쉬 지역이 아닌 타지에서 온 둘은 동질감을 매개로 친해졌고, 둘 모두 솜씨가 좋아 두각 을 나타냈다.


1986년, 르노와 파피는 오데마 피게를 그만두고 워치메이킹 이 아닌 본격적인 설계를 위한 수행을 거쳐 각각의 성을 딴 르노 에 파피 (Manufacture d’Horlogerie Renaud et Papi SA)를 세운다. 현재는 오 데마 피게 르 로클(Audemars Piguet Le Locle, 이하 APLL)로 상호가 변경되었다. 1990년 APLL이 IWC의 의뢰를 받아 완성한 컴플리케이션 무브먼트는 크로노그래프를 베이스로 퍼페추얼 캘린더와 미닛 리피터 기능을 갖추고 IWC 그랜드 컴플리케이션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어, 컴플리케이션의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당시 CEO였던 귄터 블륌라인(Günter Blümlein)의 예상에 화답한다.


탁월한 설계 능력을 바탕으로 성장했지만 경영에는 경험이 전무했던 둘은 회사가 성장할수록 운영에 어려움을 느껴, 당시 오데마 피게의 CEO였던 조지 메일란(현 MELB 그룹 홀딩스, 아들인 에두아르 메일란이 MELB 그룹 홀딩스 산하 브랜드 H. 모저 & 씨의 CEO)에게 회사 매각을 타진한다. 퇴사한 후에도 메일란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던 르노와 파피는 오데마 피게에 회사를 매각할 수 있었다. 이후 르노는 APLL의 지분을 넘기고 은퇴해 프랑스 남부에서 모텔을 열었고, 파피는 APLL에 남아 현재까지 이끌어오고 있다.


오데마 피게 산하의 회사이므로 모회사의 컴플리케이션 개발을 담당하는 한편, 타 하이엔드 브랜드를 대상으로 컴플리케이션을 공급한다. 오데마 피게에서는 수동 크로노그래프 시리즈, 투르비용, 미닛 리피터 등과 이를 조합한 그랜드 컴플리케이션을 제작해왔다. 특히 수동 크로노그래프에서 강한 면모를 드러내며 타사에도 공급했다. 수동 크로노그래프의 전성기로 되돌아간 듯 클래식하며 우아한 무브먼트 디자인은 까르띠에와 브라이틀링 포 벤틀리에도 제공해 그 아름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근 APLL은 리차드 밀을 통해 새로운 시도를 실현하고 있으며, 워치메이커나 엔지니어 출신이 아닌 리차드 밀의 난해한 콘셉트를 현실화하는 일등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기계식 무브먼트로 구현하기 어렵다거나 채산성이 문제가 되어 빛을 보지 못한 기능이 APLL을 거쳐 리차드 밀을 통해 세상의 빛을 보게 되곤 한다.


투르비용 케이지를 꽃봉오리 같은 디테일로 만들어 마치 꽃이 피는 듯한 기믹을 구현한 RM 19-02 투르비용 플라워, 케이스 측면의 버튼을 누르면 6개의 면을 지닌 롤러가 회전해 랜덤한 에로틱 메시지를 표시하는 RM 69 매뉴얼 와인딩 투르비용 에로틱, 5년을 투자해 개발한, 진동으로 알람을 수행하는 RM 62-01 투르비용 바이브레이팅 알람 ACJ 등으로 업계에 신선한 충격을 준 바 있다. RM 031을 통해 APLL은 기계식 시계의 본질을 추구했다. 다이얼 면에 부품을 집중하고 최고 수준의 무브먼트 피니시로 완성해 기계식 시계의 아름다움을 보여준 동시에, AP 이스케이프먼트로 명명한 다이렉트 임펄스 방식의 이스케이프먼트와 극도로 섬세한 조정을 거쳐 한 달 오차 ±7초를 실현해 기계식 시계의 본질에 대해 메시지를 던졌다.


APLL의 탁월한 제작 능력은 훌륭한 인재의 집합소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실제로 시계업계에서 이름을 알린 워치메이커들이 다수 거쳐 갔다.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인 지울리오 파피는 업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 되었고, 도미닉 르노는 스스로의 이름을 붙인 브랜드 도미닉 르노를 설립하며 업계에 복귀했다. 랑에 운트 죄네의 제품 개발 디렉터 앤서니 드 하스(Anthony de Haas), 독립 시계 제작자 출신으로 자신이 세운 브랜드를 매각한 뒤, 무브먼트 분해와 분석 같은 심도 깊은 기사를 생산하는 시계 사이트 네이키드 워치를 세운 피터 스피크-마린(Peter Speake-Marin), 하이엔드 레인지에서 가장 빛나는 브랜드 중 하나인 그루벨 포지의 로버트 그루벨(Robert Greubel)과 스티븐 포지(Stephen Forsey)가 APLL을 거쳤고, 이들이 단단히 뿌리를 내리며 스위스 시계업계의 원동력으로 활약 중이다.



보우쉐(Vaucher)

파르미지아니 톤다 1950
파르미지아니 톤다 1950

시계 그룹 간 경쟁은 ETA 같은 범용 무브먼트 수급은 물론 하이엔드용 고급 무브먼트 수급에도 어려움을 가져왔다. 주 공급원이던 예거 르쿨트르와 프레드릭 피게(현재는 블랑팡 매뉴팩처로 흡수)가 공급을 제한했고, 매뉴팩처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던 하이엔드와 하이엔드를 지향하는 브랜드는 새로운 공급원을 찾아야 했다. 하이엔드 에보슈 공급의 두 강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보우쉐가 급부상했다. 물론 하이엔드 브랜드의 매뉴팩처 전환에 따른 수요는 전에 비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수요는 발생했다.


보우쉐는 다소 독특한 연결 고리를 지닌 회사다. 아니, 정확하게는 모회사인 파르미지아니와 그 산하의 제조사들이 독특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무브먼트 제조사 보우쉐는 파르미지아니에 우선 공급하면서 외부 공급을 병행한다. 독립 브랜드인 파르미지아니는 독자적인 시계 생산을 위해 보우쉐를 포함 헤어스프링 제조사 아토칼파(Atokalpa), 미세 부품 제조사 엘윈(Elwin)과 케이스, 다이얼 제조사를 인수해 매뉴팩처가 된 사례다. 보통 매뉴팩처로 전환하려면 인하우스에서 제조 설비와 인력, R & D 부서를 갖추거나 관련 회사를 인수해 편입시키는 게 일반적이나, 파르미지아니처럼 산하의 부품 제조사에서 부품을 공급받으며 독립성까지 유지하는 예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덕분에 산하의 부품 제조사는 외부 판매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보우쉐는 새로운 하이엔드 무브먼트 공급원으로 발돋움했다.


앞서 소개한 무브먼트 스페셜리스트들과는 성격이 다소 다르나 현재 유일한 하이엔드용 무브먼트 제조사라는 점은 특별하다. 보우쉐의 주력 상품은 풀 로터 자동 무브먼트 칼리버 VMF 3000(에르메스 칼리버 H1837 등의 베이스 무브먼트. 에르메스 슬림 데르메스 레흐 앙파시앙뜨는 보우쉐 베이스 무브먼트에 아장호 모듈을 조합해 완성했다), 마이크로 로터 자동 무브먼트 VMF 5400(에르메스 칼리버 H1950, 리차드 밀 칼리버 RMXP1 등의 베이스 무브먼트) 시리즈의 베리에이션을 메뉴판에 올려두고 있고, 자동 크로노그래프와 투르비용까지 메뉴에서 고를 수 있다.


메뉴에 올라온 무브먼트는 초침 유무 및 스몰 세컨드 혹은 센터 세컨드의 선택, 데이트 기능의 유무, 문페이즈 등을 선택하는 수정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췄다. 과거의 에보슈 공급업체와 다르지 않은 방식으로 연평균 2만 개(2015년 기준)가량의 무브먼트를 공급한다. 물론 메뉴판에 없는 무브먼트를 제조 의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우쉐 프라이빗 라벨로 불리는 일종의 비스포크 시스템에서는 최소 수량 25개부터 주문자가 원하는 무브먼트를 만들 수 있다. 생산 수량이 적은 컴플리케이션 무브먼트는 물론 데이트나 크로노그래프처럼 비교적 기본적인 기능에 속하는 무브먼트를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우쉐는 파르미지아니에 무브먼트를 공급하는 일이 주업이므로 하이엔드 레벨의 구조와 심미성, 핸드 피니시를 곁들인 아름다운 무브먼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분업화가 만든 균열이 보우쉐 같은 새로운 하이엔드 무브먼트 제조사를 낳은 것이다.



스튜디오 7h38(Studio 7h38)과 그 외

애스트로미아 투르비용
애스트로미아 투르비용

2020년 GPHG가 각 부문 최고의 시계를 꼽기 위해 후보를 발표했을 때, 주얼리 부문와 예술적 공예 부문(Artistic Craft)에 제이콥앤코(Jacob & Co.)의 애스트로미아 투르비용 시리즈가 각각 이름을 올렸다.


제이콥앤코는 1980년대에 하이 주얼리 회사로 탄생했다. 시계에서는 주얼리가 본업인 만큼 화려한 주얼리 워치를 선보이다 2000년대 중반에 접어들며 본격적인 하이엔드급 기계식 시계에 발을 들인다. 제이콥앤코는 현재 창업지인 뉴욕에는 주얼리 사업을 위한 헤드쿼터를, 스위스 제네바 인근에는 시계를 위한 거점을 두고 있지만, 시계 생산을 위한 시설이나 전문 인력은 갖추지 않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그럼 어떻게 GPHG 후보에 오를 만한 시계를 발표할 수 있었을까? 당연히 제이콥앤코와 손잡은 스페셜리스트들 덕분이다.


초기에는 BNB 콘셉트가 이 일을 맡았다. 이들에 의해 2006년 선보인 퀜틴(Quenttin) 투르비용은 무려 7개의 멀티 배럴을 동력으로 삼아 31일 파워 리저브, 수직 연결 구조를 지닌 무브먼트를 탑재해 제이콥앤코의 화려한 등장을 알렸다. 또 하나는 스튜디오 7h38이다. 시계와 무브먼트 디자인, R & D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지만 앞서 소개한 스페셜리스트들에 비해 아직 큰 유명세를 얻지 못한 편이다. 하지만 다축 투르비용과 천체의 움직임을 묘사한 애스트로미아 투르비용 시리즈와 투르비용을 기반으로 스플릿 플랩(split flap) 방식의 GMT 기능을 구현하는 월드타이머 에픽 SF24를 선보이며 제이콥앤코가 하이엔드 대열에 들어설 수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


제이콥앤코 에픽 SF24 투르비용
제이콥앤코 에픽 SF24 투르비용

하이엔드 워치 제이콥앤코의 초기에 함께했던 BNB 콘셉트는 컴플리케이션, 스페셜 무브먼트의 수요를 확신하고 문을 연 회사다. 브레게의 스포츠 워치 마린(Ref. 3400)의 디자인을 탄생시킨 요르그 이젝(Jorg Hysek)이 세운 브랜드 이젝의 HD3 시리즈, 콩코드 워치의 콩코드 C1 투르비용 그래비티, 벨앤로스 BR01 인스투르먼트 투르비용 등이 BNB 콘셉트의 작품으로 발표 당시 한결같이 주목받았던 모델들이다.


하지만 새로운 스페셜리스트로 발돋움하려던 BNB 콘셉트는 경영 위기로 파산에 내몰렸고, 그들의 큰 고객사 가운데 하나였던 위블로에 흡수되었다. BNB 콘셉트는 창업자 3명의 성에서 이니셜을 각각 따서 만든 이름이다. 이름의 두 알파벳 B 중 하나인 마티아스 부테(Matthias Buttet)는 회사의 흡수와 함께 위블로로 향했고, N과 또 다른 B 미셸 나바스(Michel Navas)와 엔리코 바르바시니(Enrico Barbasini)는 기존 BNB 콘셉트와 같은 역할을 하는 회사 라 파브리크 두 땅(La Fabrique du Temps)을 설립했으나 루이비통이 인수해 루이비통의 컴플리케이션 공방으로 간판을 바꿔 달며, BNB 콘셉트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bottom of page